美진리와 선함과 아름다움은 하나로 뭉뜽그려서 표현할 수 없다.
미스코리아 같은 미인대회에서 1,2,3등을 진선미로 뽑았고, 따라서 사람들은 당연히 진이 최고고, 선이 그 다음, 미가 세번째라고 인식하게 된다. 하지만 각각의 단어가 가진 뜻은 서로 다르고, 어느것이 더 높은 가치인 지 구분할 수 없다. 진(眞)은 진리이고 선(善)은 선함, 미(美)는 아름다움이다. 진리가 아름다움보다 앞선다고 자신있게 이야기할 수 없고 선함이 최고가 아니라고 말할 수도 없다. 이들은 서로 비교의 대상이 아니다. 각각의 가치가 독립적으로 존재한다.
또한 진과 선과 미는 항상 함꼐하진 않는다. 아름다운 악인이 있을 수 있고, 진리가 항상 선하지만은 않고, 오히려 악한 경우도 있다. 선한 행동이 항상 진리는 아니기도 하다. 세상사 대부분의 일들은 여러가지 속성을 가지고 있다. 착하거나 나쁘다로만 구분할 수 없는 일들이 수두룩하고, 그 선함과 나쁜것과는 별개로 옳거나 그른 일이 있다.
뭉뚱그려서 생각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
돈을 많이 버는 것, 불로소득이라고 여겨지는 소득들에 대한 악한 감정을 가져서는 안된다. 악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면, 그 행위를 비난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소득행위가 악한 것은 아니다. 단순히 부자라고 해서 악인이라고 비난받을 이유는 하나도 없다. 서로 다른 속성을 가졌기 때문이다. 가난하다고 해서 악인이 아니지 않다. 가난하면서 악한 마음을 가진 사람은 수도 없이 많다. 그 반대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우리 사회에 흔히 통용되는 '좋은' 가치들이 있다. 선함,정직함,아름다움 같은 것들이 대표적이다. 도덕적이고, 성실하고 바른 사람은 사회적으로 선호된다. 이러한 것들은 개별 가치로서는 판단하기 쉽다. 게으른 사람과 부지런한 사람을 구분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쉽다. 돈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을 구분하는 것도 어렵지 않다. 하지만 이러한 가치들은 이론적으로는 독립적으로 존재하지만 현실에서는 그렇지 않다. 근면성실하며, 아름답고, 예의바르며 도덕적이고 돈이 많고 사회공헌을 많이 하는 사람이 존재하지만 드물다. 게으르지만 도덕적일 수 있고, 비도덕적이지만 경제적 성공을 거두고 사회공헌을 많이 하는 사람이 존재할 수 있다.
개별 요소들을 분리해서 보지 않으면 전체를 보지 못하게 된다. 도덕적인 면만 강조하는 사람을 보고 그가 선하고 정직하다고 추측해버려서는 안된다. 도덕적인 사람이 무조건 정직하다고 볼 수는 없기 때문이다.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행과 불만족 (0) | 2022.09.02 |
---|---|
비교의 시작과 끝 (0) | 2021.05.18 |
태양광 패널 설치하기 (0) | 2021.04.28 |
사망자중 안전띠 미착용 30%!! (0) | 2021.04.21 |
성실함. (0)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