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아기욕조 - 프탈레이트 독성
다이소 아기욕조에서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의 620배가 넘게 검출되어 리콜 명령이 떨어졌다. 다이소 측에서는 측시 환불 및 제품 회수를 실시하고, 사과문을 발표하였으나 소비자들은 집단 소송을 준비하는 등 불만이 폭주하는 것 같다. 이러한 분노는 당연하다. 엄연히 법규가 있고, 그 법규를 지키지 않고 생산활동을 하는 업체에 대한 적극적인 제제는 필요하다.
이와 별개로 프탈레이트가 어떤 물질이고, 무슨 문제를 일으킬 수 있는 지 파악하는 것도 필요할 것이다.
1. 프탈레이트란.
프탈레이트는 내분비계 교란을 일으키는 환경호르몬이다. 플라스틱은 고분자화합물이라, 그 자체는 매우 딱딱하기 때문에 딱딱한 플라스틱을 부드럽게 해 주기 위해서는 첨가물이 필요하다. 프탈레이트는 바로 플라스틱, 특히 폴리염화비닐(PVC)을 부드럽게 하기 위해 사용하는 화학성분이다.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향수와 무스, 매니큐어 등에서 프탈레이트가 검출되었고, 화장품·장난감·세제 등 각종 PVC 제품, 목재 가공 및 향수의 용매, 가정용 바닥재 등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어디에서든 프탈레이트에 노출되어 있다고 할 수 있다. 심지어 평소 사용하는 빨대에서도 프탈레이트가 과량으로 검출되기도 한다.
2. 그러면 왜 프탈레이트가 나쁜가
프탈레이트는 어려 종류다. 그 중에서 일부 물질에서 독성효과가 입증되었다. 프탈레이트 종류는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DEH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이 가운데 DEPH·DBP 등은 동물실험 결과 간·신장·심장·폐·혈액에 유해할 뿐 아니라, 수컷 랫드의 정소 위축, 정자수 감소 유발, 정자의 유전물질인 DNA를 파괴, 임신복합증과 유산 등 생식독성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중금속인 카드뮴과 같은 수준의 발암 가능 물질로 보고되어 있고 남·녀 생식 능력을 저하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기형아 출산, 생식기 발달 억제 등 독성이 강해 유럽연합(EU)에서는 인간에게 생식독성을 일으킬 수 있을 것으로 간주되는 물질로 규정하고 1999년부터 아동의 장난감 등에 사용을 금지하였고, 일본에서도 2001년부터 유럽연합의 규정을 채택하였다. 디옥신 프탈레이트는 발암성, 기형유발성이 있다.
3. 프탈레이트로부터 안전해지는 방법은?
프탈레이트로부터 노출을 막는 방법은 일단 플라스틱 제품은 실내온도 이상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다. 뜨거운 음식은 가급적 유리 용기에 담아 먹는 것이 여러 가지 유해 물질로부터 노출을 막는 효과적인 방법이다. 그리고 환경 중에 이러한 유해물질을 배출하지 않도록 하는 습관이 필수적이다. 플라스틱 용기나 비닐 봉지 등은 함부로 태우지 않고 분리 배출해야 한다. 그리고 인스턴트 식품은 주의해야 한다. 그리고 어린이들이 자주 가지고 노는 플라스틱 제품(장난감, 지우개 등)은 입으로 빨지 못하게 막아야 한다.
4. 프탈레이트를 아예 사용하지 않으면 되는것 아닌가.
꼭 그렇지만은 않다. 어떤 물질이던지 그 농도에 따라서 독성도 달라지기 마련이다. 우리가 숨쉬기 위해 필수적인 산소 역시 고농도에 장기간 노출되면 문제를 일으킨다. 그리고 보통 산소는 산화과정을 유발하는데, 쇠도 녹이 슬게 하고, 피부노화 역시 산화과정이 포함된다. 결국 어느정도의 농도가, 어느 경로를 통해 흡수되는 지가 독성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것이다.
다이소 아기욕조 사건에서 큰 문제가 되는 지점은 아기욕조에서 프탈레이트 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는 것이다. 성인과 영유아는 당연히 독성물질에 대한 내성이 다르다. 성인은 완전히 자란 신체고 간, 신장의 크기도 크고, 몸무게도 훨씬 무거워서 상대적인 농도가 훨씬 낮다. 하지만 아이들 특히나 아기욕조를 사용할 만한 나이대의 아이들은 체중도 적고, 간이나 신장 기능이 현저히 낮다. 그래서 환경부에서도 프탈레이트를 아주 낮은 농도로만 사용하도록 규제를 걸어둔 것인데, 그 규제를 어긴 것이다.
5. 그렇다면 왜 다들 어기는가.
규제가 만만해서 아닐까 싶다. 이런식으로 환경규제를 어긴 경우 해당 없체는 수 백만원의 과태료를 물게 된다. 그리고 그동안 판매한 제품에 대한 리콜 조치 또한 시행해야 할 것이다. 하지만 이러한 법적 제제가 해당 제품을 판매하여 얻는 이익 대비 현저히 적기 때문에 눈가리고 아옹하는 식으로 계속 탈법을 저지르는 것으로 보인다. 개 당 5000원 짜리 아기욕조의 제작 원가는 얼마일까. 유통마진과 판매마진을 제외하면 현저히 적을 것이다. 따라서 환경부 규제를 철저히 지키는 것 보다는 적당히 대충 이런 물건들을 수백가지를 하청업체를 통해 받아 팔고, 문제가 있으면 사과문과 리콜조치 그리고 적당한 과태료를 하청업체에 전가하면 되는것이다. 간단하다.
[부록 - 이번 국가기술표준원에서 제시한 환경물질 노출기준 초과 물품들 리스트]
품목명 |
업체명 |
제품명 |
부적합 내용 |
인증번호 |
|||
어린이용 이단침대 (1개) |
㈜지엠파트너 |
알렉산더 이층침대 |
▫ 침대바닥판 부적합: 모서리부위 25mm초과 (기준치: 틈은 25mm를 초과하면 안됨) |
CB051H010-6001 |
|||
자동차용 어린이 보호장치 (1개) |
제일상사 |
몽구플러스 카시트 |
▫ 동적시험 부적합 - 동적시험후 해리력: 프레임 파손으로 해리력 측정 불가 (기준치 : 80N이하일 것) - 보호장치 내충격성 : 프레임 파속 (기준치 : 강도 유지 기능을 갖는 각부는 파손되지 않고 어린이에게 상해를 주는 균형, 변형이 생겨서는 안됨)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2.2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CA031H005-9001 |
|||
어린이용 가구 (4개) |
민국가구 |
도토리 전면책꽂이 와이드형(화이트 워시)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3.7~121.7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총 카드뮴 기준치 8.1~18.0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
|||
핸즈퍼니쳐 |
애니토리 펭귄 책장 4단 |
▫ 총 납 기준치 1.1배 초과 (기준치 : 300 mg/kg 이하) ▫ 총 카드뮴 기준치 12.7 ~ 13.9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 |
|||
민국가구 |
다다 800 수납형 전면책꽂이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37.7~39.2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총 카드뮴 기준치 3.2~9.1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 |
|||
㈜디홀릭인터내셔널 |
토리테이블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109.3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
유아용 섬유제품 (2개) |
베베 |
베베 아동용 인디언텐트 양면 실내 상하의 모자 세트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1.3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CB014A435-0001(A001) |
|||
㈜베틀사 |
이자벨로라모 |
▫ 폼알데히드 기준치 4.1배 초과 (기준치 : 20 mg/kg 이하) |
|
CB017A001-7001 |
|||
어린이용 가죽제품 (2개) |
㈜정훈제화 |
모건로퍼(07N576601BON) |
▫ 총 납 기준치 35.6배 초과 (기준치 : 90 mg/kg 이하) |
- |
|||
서울트레이닝 |
잠뜰 스니커즈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2.2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
아동용 섬유제품 (7개) |
발코니(온라인) |
bch20-3293 |
▫ 총 납 기준치 22.9배 초과 (기준치 : 90 mg/kg 이하) |
- |
|||
아이앤지 |
BIO88ZU015 |
▫ 폼알데히드 기준치 1.3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 |
|||
밤블루(bimbelot) |
리버시블 블랭킷 자켓_PBL_BIOT03802_카키 |
▫ 총 납 기준치 1.9배 초과 (기준치 : 90 mg/kg 이하) |
|
- |
|||
㈜라운드 컴퍼니 |
YBJFJK004BG |
▫ 코드 및 조임끈 부적합: 조임끈에 자유단이 있고, 후드 조임끈에 바태팅 되어 있지 않음 등 (기준치 : 이상없을 것) |
|
- |
|||
엔젤아이 |
엔젤아이 아동용 롱 청 자켓_20MC38 |
▫ 총 납 기준치 12.7배 초과 (기준치 : 90mg/kg 이하) |
|
- |
|||
㈜느엘 |
느엘 유아동용 트앵 면 긴바지 |
▫ 총 납 기준치 4.9배 초과 (기준치 : 90 mg/kg 이하) |
|
- |
|||
㈜세븐스타나이스 |
아동용 다이노 맨투맨(크림) |
▫ 폼알데히드 기준치 2.4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 |
|||
완구 (10개) |
㈜조엔 |
보드게임(익스트림팀버) |
▫ 총 납 기준치 3.7배 초과 (기준치 : 300mg/kg 이하) |
CB061R583-7001 |
|||
매몬스튜디오 |
마술교실 78 |
▫ 자석 부적합: 자석 충격시험후 완전히 들어감, 자속지수 137kG2mm2 (기준치 : 합리적 오용 시험후 50kG2mm2미만이거나, 작은부품 실린더에 완전히 잠기지 않아야 함) |
|
CB063R1195-9002 |
|||
㈜이투컬렉션 |
홀로그램 스티커(리무버) - 07 스타일 |
▫ 작은 부품 부적합: 작은 부품 완전히 들어감, 경고표시 없음, 연령표시 없음 (기준치 : 1)36개월미만의 어린이용 완구는 작은부품 실린더에 완전히 들어가지 않아야 함, 2) 36개월이상 72개월미만의 어린이용 완구는 작은부품 실린더에 완전히 들어가면 경고문구를 표시하여야 함) |
|
CB063A157-9005 |
|||
㈜반디 |
BI-BUG |
▫ 총 납 기준치 2.8배 초과 (기준치 : 90 mg/kg 이하) |
|
CB063R500-8001 |
|||
빅마스터 |
러블리 미니돌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382.0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CB065R0762-0002 |
|||
영공방 |
HO시리즈 카페가 있는 집 |
▫ 총 납 기준치 45.0 ~ 145.2배 초과 (기준치 : 300 mg/kg 이하) |
|
CB061M003-5001 |
|||
매직캐슬 |
매직교구(NO.40181 역할놀이 차세트와 스낵)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3.4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CB061R5317-0001 |
|||
㈜백운홈쇼핑 |
꼬마어부 자석 낚시놀이 장난감 55pcs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284.2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CB063R3167-8001 |
|||
㈜무토 |
아빠는 골키퍼세트(케이스)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6.3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
㈜아이엔피 |
펭수 액자퍼즐 108피스 |
▫ 총 카드뮴 기준치 14.1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
CB061H263-8001 |
|||
더그로우 |
블루밍 과일핀센트_ICA2FST01(옐로우)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2.6~2.9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총 납 기준치 33.1배 초과 (기준치 : 300 mg/kg 이하) |
|
어린이용 장신구 (5개) |
|||
- |
|||
율그란 |
네온목걸이 민트반지 |
▫ 총 납 기준치 610.3배 초과 (기준치 : 300 mg/kg 이하) ▫ 총 카드뮴 기준치 38.8배 초과 (기준치 : 75 mg/kg 이하) ▫ 파괴장력 부적합: 기준치 2.3배 초과시 해제됨 (기준치 : 70N의 힘으로 당겼을 때 해제되어야 함) |
|
- |
|||
수진글로벌(온라인) |
뽀뽀키즈 구미베어 목걸이(핑크) |
▫ 파괴장력 부적합: 기준치 이상 값으로 당겼을 때 해제되지 않음 (기준치 : 70N의 힘으로 당겼을 때 해제되어야 함) |
|
- |
|||
문별반지(달/블루) |
▫ 니켈 용출량 기준치 2.0 ~ 6.2배 초과 (기준치 : 0.5㎍/㎠/week 이하) |
||
도트엔 |
|||
- |
|||
플라잉타이거코리아(주) |
캐릭터 어린이용 반지 8개_핑크 F3020616_XPK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1.2~16.7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
기타 어린이제품 (2개) |
㈜대현화학공업 |
아기욕조 코스마(KHB_W5EF8A6)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612.5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아이온컴퍼니 |
미끄럼방지 욕실 의자(화이트) |
▫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기준치 18.9배 초과 (기준치 : 총 합 0.1% 이하) |
|
- |
|||
고령자용 보행차 (2개) |
주식회사 탑메디칼 |
CA827 |
▫ 전방안전성시험 기준치 미달 (기준치: 10.0°, 측정값: 7.8°) |
B201R055-4001 |
|||
주식회사 미래메디쿠스 |
HELPER-1001 |
▫ 전방안전성시험 기준치 미달 (기준치: 10.0°, 측정값: 7.7°) |
|
B201R069-6001 |
|||
온열팩 (1개) |
동성산업 |
핫팩 |
▫ 총 납 기준치 1.3배 초과 (기준치: 300 ㎎/㎏이하) |
B681H006-3001 |
|||
실내용 바닥재(1개) |
시호인터내셔날 |
GAM퍼즐매트 |
▫ 프탈레이트 가소제 기준치 160.2배 초과 (기준치: 총 합 0.1%이하) |
B671R032-20001 |
|||
PVC관 (2개) |
㈜대경프라스틱 |
75 * 4m |
ㅇ 인장항복 강도 기준치 미달 (기준치 : 45 Mpa 이상, 측정값 : 34.3 Mpa ) ㅇ 정량(납) 기준치 초과 (기준치 : 0.1wt% 이하, 측정값 : 1.438 wt%) |
- |
|||
㈜대한프라스틱 |
75 * 4m - |
ㅇ 인장항복 강도 기준치 미달 (기준치 : 45 Mpa 이상, - 측정값 : 34.7 Mpa ) ㅇ 정량(납) 기준치 초과 (기준치 : 0.1wt% 이하, 측정값 : 0.3735 wt%) |
|
LED등기구 (4개) |
에스케이엘이디 |
SKD-S5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기준치 : 2.5 ㎜ 이상, 측정값 : 0 ㎜) |
JU11367-19002 |
|||
씨티전기(주) |
LEDFPLA550450SN-DHE, LHE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기준치 : 2.5, 1.5 ㎜ 이상, 측정값 : 1.35, 1.35 ㎜) |
|
JU11304-16071B |
|||
㈜글로벌엘이디 |
GB-LCF15LCSE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기준치 : 2.5 ㎜ 이상, 측정값 : 0.9 ㎜) |
|
JH11649-16002E |
|||
㈜베스트조명 |
XU-R60-S-A01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기준치 : 2.5 ㎜ 이상, 측정값 : 1.96 ㎜) |
|
JU11303-20001 |
|||
백열등기구 (1개) |
디바제 |
WS-2 |
ㅇ 절연저항 및 전기적 강도 (충전부와 외함 사이에 내전압 AC 2 880V를 견디지 못함) |
XA110048-17001 |
|||
전기매트 (1개) |
우진테크 |
WJ-s1000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취침 기준치 : 37 ℃ , 측정값 : 43.6 ℃/ 전열소자 기준치: 95℃, 측정값: 102.7 ℃) |
JH07143-18002 |
|||
전기방석 (2개) |
한일메디칼 |
HL2019-201980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50 ℃ , 측정값 : 67.6 ℃ / 열선 기준치: 100℃, 측정값: 124.3 ℃) |
JC07067-19005A |
|||
한영상사 |
한일 HY-1102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50 ℃ , 측정값 : 50.1 ℃ / 전열소자 기준치: 100℃, 측정값: 103.0 ℃) |
|
HB07138-12002 |
|||
전기스탠드(1개) |
삼성인테리어조명 |
SIT-50-18 |
ㅇ 충전부에 대한 감전보호 부적합 (충전부(램프홀더 후면)에 테스트핑거 접근 가능)) |
YU11206-19001C |
|||
전기스토브(1개) |
홍진테크(주) |
IN-F10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나무대 기준치 : 65 K , 측정값 : 66.6 K) |
HU071204-18012 |
|||
전기 온수매트 (2개) |
서진아나텍 |
SMART-520ATG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취침 기준치 : 37 ℃ , 측정값 : 40.5 ℃ / 고온 기준치: 50℃, 측정값: 51.2 ℃) |
YD07002-15002 |
|||
㈜인터텍 |
IA-350D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취침 기준치 : 37 ℃ , 측정값 : 40.5 ℃ / 고온 기준치: 50℃, 측정값: 54.8 ℃) |
|
YH07070-18001E |
|||
전기요 (5개) |
㈜한진종합 |
HJ013D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97.2 ℃) |
HL07106-19002B |
|||
㈜태평양메디칼 |
170-HW-C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01.9 ℃) |
|
HL07100-18001 |
|||
㈜원팩 |
GW-1472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37 ℃ , 측정값 : 41.8 ℃/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22.8 ℃ ) |
|
HJ07077-18004 |
|||
㈜금풍전기산업 |
KP303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37 ℃ , 측정값 : 46.4 ℃/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14.8 ℃ ) |
|
HH071779-16001 |
|||
라디언스(주) 광주지점 |
WS-1000A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29.9 ℃) |
|
HH071891-18001 |
|||
전기장판 (3개) |
㈜우진의료기 |
CTT24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03.8 ℃) |
HH071363-11004 |
|||
㈜한일생명과학 |
HI-3000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37 ℃ , 측정값 : 40.0 ℃) |
|
HE07070-12005 |
|||
한일의료기 |
KJH-121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37 ℃ , 측정값 : 44.0 ℃/ 발열체 기준치 : 95 ℃ , 측정값 : 121.8 ℃ ) |
|
HE07057-17018 |
|||
전기찜질기(2개) |
오리온씨엔씨 |
BW-200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85 ℃(최대 2시간 이내 , 측정값 : 97.7 ℃) |
XU070195-19003 |
|||
㈜한일의료기 |
HI 501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표면 기준치 : 50 ℃ , 측정값 : 67.0 ℃/ 정상상태 기준치 : 100 ℃ , 측정값 : 14.2 ℃ / 전열소자 기준치 : 140 ℃ , 측정값 : 161.6 ℃ ) |
|
HC07185-20001 |
|||
직류 전원장치 (4개) |
㈜바이퍼럭스 |
HDS-HDD10T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T1 (1차 core - 2차 부품) 공간거리: 기준 4.0㎜, 측정치 2.0㎜, 연면거리 기준: 5.0㎜, 측정치 2.0㎜) |
HU10814-19005 |
|||
㈜에이포인트코리아 |
APOINT-PD-B-99W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1차)트랜스포머 코어-(2차)PCB 패턴 공간거리: 기준 2.0㎜, 측정치 0㎜, 연면거리: 기준 2.5㎜, 측정치 0㎜) |
|
HU101049-19001 |
|||
㈜제스파 |
XH1200-2000K |
ㅇ 온도상승 기준치 초과 (T1 코어 : 기준값: 110 ℃, 측정값:127.1 ℃/ T1 코일 : 기준값: 110 ℃, 측정값: 126.7 ℃) |
|
HU10920-19004 |
|||
㈜삼우힐링라이프 |
BX-0841000 |
ㅇ 연면거리 및 공간거리 부적합 (T1 (1-2차) 공간거리 기준치 4.0㎜, 측정치 0㎜ , T1 (1-2차) 연면거리 기준치: 5.0㎜ 측정치 0㎜) |
|
HU10584-19015 |